AWS (8)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ELB의 개념과 종류(ALB, NLB, GWLB)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이란?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리소스 전체에 트래픽이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방법이다.수많은 사용자가 접속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트래픽량이 아주 많이 몰리는데, 이러한 경우 대부분 여러 대의 중복 서버를 운영한다. 로드밸런서가 이 서버 풀 앞단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여러 대의 서버들에게 균등하게 배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특정 서버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해당 서버로 트래픽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로드밸런서를 사용해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면 고가용성 및 내결함성이 향상되어 장애 발생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고, 서비스가 높은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Scale Up / Scale OutScale Up기존 서버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이다. 수직 .. [AWS]Amazon RDS에 MySQL Workbench로 연결하기(Amazon Aurora) AWS 환경에서 3 Tier Architecture를 구성하던 중 Amazon Aurora와 MySQL Workbench 연결에 문제가 발생했다. 보안 그룹과 퍼블릭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였다.문제를 해결하는 참에 RDS 생성과 Workbench 연결 설정 과정을 글로 정리해서 기록해두려고 한다.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AWS 환경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설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원하는 스펙에 따라서 Amazon Aurora, PostgreSQL, MariaDB 등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사용하기에 SQL을 사용해 쿼리할 수 있다. Amazon AuroraAWS에서 자.. [AWS]EC2 인스턴스 모니터링 설정하기(수동 모니터링, CloudWatch 경보 설정하기) 수동 모니터링 방식모니터링 탭 클릭 지표별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EC2 인스턴스의 기본 모니터링 기능보다 조금 더 상세한 지표나 규칙을 부여하고 싶다면 대시보드 추가를 클릭하여 Amazon Cloudwatch 대시보드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새로운 대시보드 이름을 `생성` 하고 `대시보드에 추가` 해준다. CloudWatch 대시보드가 생성되었다. 이 대시보드에서 조금 더 자세한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모니터링EC2 인스턴스의 세부 모니터링 관리 기능을 활성화한다.세부 모니터링 관리 기능을 활성화하면 1분 간격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약간의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세부 모니터링 `활성화` 체크 -> `확인` CloudWatch 서비스에 접속하여 `경보 생성`.. [AWS]EC2에서 Apache 웹 서버 실행해보기 EC2 생성하기 EC2에 SSH 접속하기생성한 인스턴스의 퍼블릭 IP 기록해두기 로컬 터미널을 통해 SSH 접속하기(macOS)저장해 둔 키페어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한 후, ssh 접속 명령어를 실행한다.# Amazon Linux 사용시 username은 ec2-userssh -i [키페어파일명.pem] [username]@[EC2 Public IPv4]ssh 접속에 대해서 이전에 작성해 둔 글이 있다.https://icedamericanoo.tistory.com/8 [AWS]EC2 인스턴스 생성 후 SSH 접속하기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키 페어 생성하기 아래와 같이 설정 후 키 페어 생성을 누르면 자동으로 .pem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다시 다운로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잘 보관해야 한다. .. [AWS]스토리지 서비스 - EBS(개념과 실습) 💡Amazon EBS(Elastic Block Store)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실행중인 EC2 인스턴스에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외장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EC2 인스턴스 내에 내장된 기능이 아니고 외장하드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던 EC2 인스턴스가 종료되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주의해야할 점 한 번에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만 연결될 수 있다. 즉,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하나의 EBS 볼륨에 마운트할 수 없다.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 여러 개의 EBS 볼륨을 연결하는 것은 가능하다. 특정 가용 영역으로 사용 범위가 제한된다.(다른 가용 영역에 연결하고 싶다면 스냅샷 기능 활용) 용.. [AWS]EC2 인스턴스 생성 후 SSH 접속하기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키 페어 생성하기 아래와 같이 설정 후 키 페어 생성을 누르면 자동으로 .pem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다시 다운로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잘 보관해야 한다. 이후 네트워크 설정과 스토리지 구성은 기본 설정 유지한 채 인스턴스 생성 클릭 인스턴스 정보에서 보안 탭을 확인한다. 인바운드 규칙: 해당 EC2 인스턴스에 들어오는 트래픽의 보안 규칙을 정의 아웃바운드 규칙: 해당 EC2 인스턴스에서 나가는 트래픽의 보안 규칙을 정의 외부에서 해당 EC2 인스턴스로 SSH 접속을 수행할 것 이므로 인바운드 규칙이 22번 포트에 대한 트래픽을 허용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선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주소를 사용해야 한다. 로컬 터미널 환경에서 SSH 접속하기 .. [AWS]CloudTrail, CloudWatch, Config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CloudTrail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 기록하는 서비스이다. 계정의 모든 활동과 API 호출을 기록한다. 특정 리소스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다. CloudTrail의 모든 로그들을 CloudWatch Logs나 Amazon S3에 저장할 수 있다. 글로벌 서비스이다. CloudTrail Event 종류 1. Management Events AWS 계정 내에서 리소스와 관련하여 수행된 작업을 기록한다.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모든 Management events는 로깅된다. 리소스를 변경하지 않는 read events와 리소스를 변경하는 write events로 구분된다. ex) IAM AttachRolePolicy, CreateSubnet, CreateTrail 2. Data.. [AWS]스토리지 서비스 - 스토리지 종류와 AWS 스토리지 서비스 💡스토리지(Storage) 기초 스토리지 정의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이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스토리지라고 부른다. 스토리지 종류 - 연결 방식의 차이 1. DAS(Direct Attached Storage) 전용 케이블을 사용해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구성이 쉽고 비용 효율적이며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스토리지에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단점 역시 존재한다. 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USB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단 NAS의 경우 컴퓨터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이더넷, LAN..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