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EBS(Elastic Block Store)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실행중인 EC2 인스턴스에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외장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EC2 인스턴스 내에 내장된 기능이 아니고 외장하드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던 EC2 인스턴스가 종료되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주의해야할 점
- 한 번에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만 연결될 수 있다. 즉,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하나의 EBS 볼륨에 마운트할 수 없다.
-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 여러 개의 EBS 볼륨을 연결하는 것은 가능하다.
- 특정 가용 영역으로 사용 범위가 제한된다.(다른 가용 영역에 연결하고 싶다면 스냅샷 기능 활용)
- 용량을 미리 결정해서 생성한 후 사용해야 한다.(GB, IOPS를 정한 후 프로비저닝된 용량에 따라 요금 청구, 이후에 용량 증가 가능하나 축소는 불가능)
- 생성한 후 Unattached 된 상태로 두어도 괜찮다.
EBS 스냅샷
EBS 볼륨의 특정 시점에 대한 백업을 의미한다.
생성된 스냅샷은 다른 가용 영역이나 다른 리전에 복사할 수 있다.
특징
- EBS 스냅샷 아카이브를 사용해 저렴한 아카이브 티어로 스냅샷을 옮길 수 있다.
- 단, 아카이브 티어로 옮긴 후 복원할 때 최소 24시간에서 최대 72시간이 소요된다.
- EBS 스냅샷 휴지통을 사용해 EBS 스냅샷을 영구 삭제하는 것이 아닌 휴지통에 넣어둘 수 있다.
- 빠른 스냅샷 복원을 사용해 스냅샷을 완전히 초기화하여 지연 시간을 없앨 수 있다.(높은 비용)
실습
1. EC2 인스턴스를 새롭게 생성하기
- AMI 루트 디바이스 유형이 기본적으로 ebs로 설정되어 있다.
- 종료 시 삭제가 기본적으로 설정된 채로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만약 인스턴스 종료 후에도 해당 EBS 볼륨이 유지되길 원한다면 아니요로 변경해주고 생성하면 된다.
- EC2 인스턴스가 생성 완료되면 Elastic Block Store -> 볼륨 확인 시 새로운 볼륨도 생성되어 있다.
2. lsblk 또는 ls -asl /dev/xvd* 명령어로 연결된 디스크 확인하기
3. 별도의 새로운 EBS 볼륨 생성해서 EC2 인스턴스에 추가로 Attach하기
- EC2 인스턴스와 함께 생성된 EBS 볼륨의 가용영역이 ap-northeast-2c이므로 새로운 EBS 볼륨도 같은 가용영역에 생성해야 한다.
- 우클릭 하고 볼륨 연결 클릭
- 볼륨의 가용 영역에 존재하는 EC2 인스턴스 중 선택할 수 있다.
- 디바이스 이름도 적절히 지정해 준 후 볼륨을 연결해준다.
4. lsblk 또는 ls -asl /dev/xvd* 명령어로 새롭게 연결된 디스크 확인하기
5. 추가된 EBS 볼륨 파일시스템 설정하기
- 파일시스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 'data' 출력 시 파일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sudo file -s [장치명]
- 파일시스템 생성하기
mkfs -t ext4 [장치명]
- 다시 파일시스템 확인하기
5. 마운트하기
- 마운트: 물리적인 장치를 디렉토리에 연결해주는 작업
- 추가된 디바이스가 마운트되어야 유저가 사용가능하다.
6. Auto mount 설정하기
- Auto mount를 설정해야 인스턴스 재부팅 시에도 다시 마운트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 재부팅시에도 현재 볼륨 상태를 유지하고 싶다면 Auto mount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 Auto Mount 설정을 해주었기 때문에 재부팅 후에도 여전히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EBS 와 EC2 인스턴스 스토어(Instance store) 비교
기준 | EBS | 인스턴스 스토어 |
연결 방식 | EC2와 네트워크로 연결 | EC2 안에 스토리지 내장 |
속도 | 속도가 느림 | 속도가 빠름 |
저장 방식 | 영구적 스토리지 | 인스턴스 삭제/종료 시 데이터 휘발 |
재연결(탈부착) 가능 여부 | USB 처럼 탈부착 가능 | 분리 및 재연결 불가 |
기능 | EC2를 위한 가상의 하드디스크 | EC2 캐시데이터 스토리지 |
- 인스턴스 스토어가 내장되어 있는 EC2 타입이 있고, 인스턴스 스토리지를 오직 EBS로만 사용 가능한(인스턴스 스토어가 존재하지 않는) EC2 타입이 있다.
참고 자료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EC2 인스턴스 모니터링 설정하기(수동 모니터링, CloudWatch 경보 설정하기) (0) | 2024.05.01 |
---|---|
[AWS]EC2에서 Apache 웹 서버 실행해보기 (0) | 2024.04.30 |
[AWS]EC2 인스턴스 생성 후 SSH 접속하기 (0) | 2024.04.04 |
[AWS]CloudTrail, CloudWatch, Config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0) | 2024.03.14 |
[AWS]스토리지 서비스 - 스토리지 종류와 AWS 스토리지 서비스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