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모니터링 방식
모니터링 탭 클릭
지표별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EC2 인스턴스의 기본 모니터링 기능보다 조금 더 상세한 지표나 규칙을 부여하고 싶다면 대시보드 추가를 클릭하여 Amazon Cloudwatch 대시보드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새로운 대시보드 이름을 `생성` 하고 `대시보드에 추가` 해준다.
CloudWatch 대시보드가 생성되었다. 이 대시보드에서 조금 더 자세한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모니터링
EC2 인스턴스의 세부 모니터링 관리 기능을 활성화한다.
세부 모니터링 관리 기능을 활성화하면 1분 간격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약간의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세부 모니터링 `활성화` 체크 -> `확인`
CloudWatch 서비스에 접속하여 `경보 생성` 클릭 -> `경보 생성` 클릭
`지표 선택` 클릭
지표 선택을 클릭하고 나면 다양한 유형별 지표를 확인 가능하다.
실습을 위해 `CPU Utilization`을 검색하고 모니터링 대상이 될 EC2 인스턴스를 선택한다.
`그래프로 표시된 지표` 탭으로 이동 후 기간을 1분으로 설정해준다.
`옵션` 탭으로 이동 후 위젯 유형을 `누적 면적`으로 변경해주고 지표 선택을 클릭한다.
조건을 설정해준다.
알림 설정 후 주제 설정을 클릭한다.
주제 생성을 클릭하면 알람을 수신하기 위해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메일이 한 통 날아온다.
Confirm Subscription을 클릭한다.
Confirm Subscription을 클릭하면 성공적으로 해당 주제에 대한 구독이 완료되었다는 화면이 뜬다.
EC2 작업을 추가해주고 생성할 경보의 이름까지 생성해준 후 마무리한다.
CloudWatch 경보 생성 완료
내가 생성한 CloudWatch Alarm의 내용
- CPU Utilization이 50% 이상이 되면 이메일로 알람을 전송한다.
- 알람이 트리거되었을 때, EC2 인스턴스는 재부팅한다.
EC2 인스턴스에 부하를 강제로 발생시켜보기
우선, EC2 인스턴스에 SSH 접속한다.
접속 완료 후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한다.
# 슈퍼유저 권한으로 실행
sudo su
# CPU 부하 설정 프로그램 설치
amazon-linux-extras install -y epel
yum install -y stress-ng
CPU에 70%의 부하를 발생시키는 코드를 작성한다.
stress-ng --cpu 1 --cpu-load 70% --timeout 10m --metrics --times --verify
1분 정도 기다리면 설정해 둔 메일 주소로 메일이 발송된다.
메일로 발송해준 링크를 클릭하면 경보에 대한 내용을 그래프로 확인 가능하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ELB의 개념과 종류(ALB, NLB, GWLB) (0) | 2024.05.13 |
---|---|
[AWS]Amazon RDS에 MySQL Workbench로 연결하기(Amazon Aurora) (0) | 2024.05.10 |
[AWS]EC2에서 Apache 웹 서버 실행해보기 (0) | 2024.04.30 |
[AWS]스토리지 서비스 - EBS(개념과 실습) (0) | 2024.04.09 |
[AWS]EC2 인스턴스 생성 후 SSH 접속하기 (0) | 2024.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