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네트워크 계층]IP 주소의 개념(공인/사설/고정/유동 + 내 IP 주소 확인하는 방법)

암낫어로봇 2024. 2. 21. 11:08
반응형

 

💡IP 주소란?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올바른 주소로 주고받기 위한 규약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의 이더넷을 사용하면 같은 네트워크 내부의 컴퓨터 간의 통신은 가능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시말해서, MAC 주소만 사용한다면 자신의 지역 내에서는 목적지를 찾을 수 있겠지만 지역 외부의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컴퓨터를 찾을 수는 없다. 다른 네트워크의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접근이 어렵다. 

이처럼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단말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가 IP 주소이다.

IP 주소를 사용하면 수많은 네트워크들이 모여 이루어진 인터넷 상에서 어떤 네트워크로 전달되어야 하는지, 해당 네트워크에서 어떤 기기에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익숙한 IP 주소의 모습인 123.456.123.456과 같은 형식은 IPv4의 표기법이다.

IPv4는 32 비트로 구성되므로 2^32개(약 43억개)의 IP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많아 보일 수 있지만, 전 세계의 인구 수보다도 적은 수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만 봐도 한 사람 당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톱 등등 여러 개의 기기를 소지하고 있으므로 IPv4 방식에 기반한 IP 주소의 수는 상당히 적은 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IP 주소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인 IP와 사설 IP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IPv6가 탄생했다. 추후 정리 예정)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라우터만 공인 IP를 갖고 연결된 기기들은 사설 IP를 갖는다.

 

 

공유기는 외부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이므로 공인 IP와 사설 IP를 모두 갖는다.

 

공인 IP 주소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같이 IP를 할당하는 공인 기관에서 부여한 IP 주소이다.
  •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한다.
  •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모뎀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컴퓨터나 라우터에는 공인 IP 주소가 할당된다.
  • 쉽게 말해 공유기를 거치지 않은 주소이다.
  •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의 경우 외부에서의 접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공인 IP 주소를 갖는다.

사설 IP 주소

  • 특정 네트워크 안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
  • 인터넷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회사나 가정의 기기에는 사설 IP 주소가 할당된다.
  • 사설 IP 주소를 안다는 것은, "사과아파트 101동 102호" 와 같은 주소에서, "101동 102호"만 알고있는 셈이다.
  • "101동 102호"라는 주소는 타 지역의 다른 아파트들도 가질 수 있는 주소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정확히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사설 IP 주소를 가진 기기로 외부의 IP에 접근할 수 있으나, 외부에서 사설 IP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설 IP 대역(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 임의로 부여 가능한 IP 대역)

  • A 클래스 : 10.0.0.0 ~ 10.255.255.255
  • B 클래스 : 172.16.0.0 ~ 172.31.255.255
  • C 클래스 : 192.168.0.0 ~ 192.168.255.255

 

 

💡고정 IP 주소와 유동 IP 주소 

공인 IP와 사설 IP는 고정 IP와 유동 IP로 각각 나뉘어진다.

다시말해서, 공인 IP도 고정 혹은 유동 IP가 될 수 있고 사설 IP 역시 고정 혹은 유동 IP가 될 수 있다.

 

 

고정 IP 주소

  • 변하지 않는, 고정적인 IP 주소
  • 특수한 목적이 있는 경우에만 고정 IP를 사용한다.
  •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버의 경우 IP 주소가 계속해서 바뀐다면 외부에서 접속이 어려워지므로 고정 IP를 사용한다.
  • 회사의 지사에서 본사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 보안이 매우 중요하므로 고정 IP를 신분증과 같이 사용하여 미리 등록된 지사의 고정 IP만 접속 가능하도록 한다.

 

유동 IP 주소

  • 일정 시간 동안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으면 IP 주소를 회수하는 방식의 변경되는 IP 주소
  • 대부분의 사용자가 유동 IP를 사용한다.
  •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의 IP를 회수하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컴퓨터에게 해당 IP를 재할당하므로 IP 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

💡나의 IP 주소 확인하는 방법(macOS 기준)

 

공인 IP 확인하는 방법

1. 구글에 'what is my ip' / 네이버에 '내 ip 주소 확인' 검색

네이버 / 구글에 검색한 모습

 

2. 터미널 명령어 사용

curl ifconfig.me

 

사설 IP 확인하는 방법

1. [시스템 설정] - [네트워크] - [Wi-Fi] - [세부사항]

 

  • IP 주소: 내가 접속한 기기의 사설 IP 주소
  • 라우터: 내가 접속한 공유기(라우터)의 사설 IP 주소
  • 앞서 확인한 공인 IP 주소는 내가 접속한 공유기(라우터)의 공인 IP 주소

 

 

2. 터미널 명령어 사용

# 입력 후 inet 옆의 주소가 나의 사설 IP 주소
ifconfig | grep inet

 

 


 

 

 

참고 자료

 

 

[IT 잡학다식] 공유기 IP 주소는 왜 192.168.로 시작할까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집, 회사, 카페, 심지어 대중교통에서도 유·무선 인터넷을 쓸 수 있죠. 이렇게 된 데에는 공유기의 역할이 컸습니다. 공유기 한 대로

www.etnews.com

https://youtu.be/MiEWZlHSU1Q?si=IDDXDpcm-IIgHx3d

https://youtu.be/GK3h936Co-k?si=eCJzd9m6syzpSda2

 

모두의 네트워크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TCP/IP가 보이는 그림책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 IP 기초 (사설IP / 공인IP / NAT) 개념 정말 쉽게 정리

아이피(IP) 종류 IP(Internet Protocol) 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 우리가 다른사람에게

inpa.tistory.com

 

 

공인 IP, 사설 IP, 고정 IP, 유동 IP – GotoCloud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공인 IP, 사설 IP, 고정 IP 및 유동 IP가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한다. 피시나 스마트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비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주소인 IP 어드레스를

gotocloud.co.kr

 

Private IP vs Public IP: What’s the Difference?

There are two types of IP address: public (external) and private (local/internal).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a public IP and private IP here.

www.av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