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EC2에서 Apache 웹 서버 실행해보기

암낫어로봇 2024. 4. 30. 17:54
반응형

EC2 생성하기

인스턴스 이름 설정
프리 티어로 사용 가능한 AMI 선택
t2.micro 인스턴스 생성

 

EC2에 SSH 접속하기

생성한 인스턴스의 퍼블릭 IP 기록해두기

 

 

로컬 터미널을 통해 SSH 접속하기(macOS)

저장해 둔 키페어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한 후, ssh 접속 명령어를 실행한다.

# Amazon Linux 사용시 username은 ec2-user

ssh -i [키페어파일명.pem] [username]@[EC2 Public IPv4]

접속 완료

ssh 접속에 대해서 이전에 작성해 둔 글이 있다.

https://icedamericanoo.tistory.com/8

 

[AWS]EC2 인스턴스 생성 후 SSH 접속하기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키 페어 생성하기 아래와 같이 설정 후 키 페어 생성을 누르면 자동으로 .pem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다시 다운로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잘 보관해야 한다. 이후 네트워

icedamericanoo.tistory.com

 

EC2 인스턴스에 Apache 웹 서버 설치하기

`sudo su` 명령어를 실행하여 슈퍼 유저(root)로 권한을 변경한다.

 

`yum install httpd -y` 명령어를 실행하여 Apache 웹 서버 데몬을 설치한다.

설치 완료

 

`systemctl start httpd` 명령어를 실행하여 Apache 웹 서버를 시작한다.

 

 

웹 브라우저에 퍼블릭 IP를 입력하여 접속하면 Apache 웹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디렉토리 `/var/www/html/.` 경로에 content를 추가하라는 내용 또한 확인할 수 있다.

 

/var/www/html 에 Content 추가하기

/var/www/html 경로로 이동하기

cd /var/www/html

 

vi 편집기로 index.html 파일 작성하기

vi index.html
  • `i`를 눌러 입력 모드로 변경 후 코드를 작성한다.
<!doctype html>

<html>

<head></head>
<body>
	<h1>웹 서버 실행 성공!!!!!!!</h1>
</body>

</html>

 

작성 완료 후 `esc` -> `:wq` 눌러 저장하며 종료

 

다시 한 번 퍼블릭 IP로 접속해보기

아까는 테스트 페이지가 떴지만, 이제 작성해 둔 `index.html`파일의 내용이 뜨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반응형